책소개
한국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천’ 영역에서 일인자로 평가되는 ‘황종건’의 생애를 통해 한국 사회교육 60년 역사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학설사’ 연구를 채택했다. 교육학자의 생애사 탐구, 학문 의식이나 학설의 직접적 발표 형식인 논문과 저서 등 연구 업적에 관한 역사학적 접근을 취했다. 여기에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황종건의 삶의 전환에 착안해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전망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그리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황종건이 사회교육과 관련한 사실과 실천을 어떻게 바라보며, 또한 이론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지를 밝혔다.
한국 평생교육 뿌리 찾기
오늘날의 평생교육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한국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은 해방 후 미군정, 6·25전쟁, 북한과 군사적 대립, 군사정권, 민주화 등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수많은 부침을 겪으며 성장해 왔다. 이를 위해 ‘노력과 열정’을 바친 수많은 이론가와 실천가가 있었고, 이론적 배경이 되는 ‘학설’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황종건은 해방 후 한국 사회교육 제도 성립과 실태, 학설 형성 과정, 관련 조직 설립과 활동, 국제기구와 교류 등 ‘연구’와 ‘실천’의 제일선에서 활약했던 한국 사회교육 1세대로, 그의 생애가 곧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이 책은 한국 사회교육 60년 역사를 한 인물의 ‘이론’과 ‘실천’의 역사를 통해 돌이켜볼 수 있게 한다.
‘황종건’의 생애를 ‘학설사’와 ‘생애사’ 연구방법에 따라,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의 형성 과정을 분석했다. ‘학설사’ 분석틀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이론과 실천이라는 각기 다른 영역이 한 인물의 삶 속에서 상호작용한 관계를 분석하는 틀을 제시한 것이다. 생애사 연구방법을 활용하면서 황종건의 삶의 전환에 착안해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전망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한국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그리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는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 구조를 해명하고, 그가 한국 사회교육학과 오늘날 평생교육학에 끼친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따라서 이 책은 오늘날 한국 평생교육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해 향후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황종건’이라는 사회교육학자이자 실천가가 살아온 모습, 이론이나 이념, 그리고 실천 등이 오늘날 평생교육 현장에서 활약하는 평생교육사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책은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부는 ‘황종건’에 대한 연구가 왜 한국 사회교육의 역사를 밝히는 데 중요한지를 살펴본다. 그런 다음, ‘황종건’의 학설사 및 생애사 연구의 특징에 대해 정리한다. 이 두 가지 연구방법에 입각해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사 및 생애사 분석의 관점을 제시한다.
2부는 황종건의 생애를 살펴본다. 그의 학문의식이나 삶의 전환기에 초점을 맞춰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그리고 전망기라는 네 가지 시기로 구분해 그가 걸어온 길을 되돌아본다.
3부부터 6부까지는 2부에서 설정한 네 가지 시기에 따라 황종건의 사회교육학설의 형성 과정에 대한 분석을 전개한다. 각 시기의 시대적 배경과 사회교육의 실제를 되돌아보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 형성 과정과 사회교육 실천의 모습을 보여준다.
7부는 황종건의 생애와 사회교육학설의 구조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제시한다. 특히, 그의 연구자이자 실천가로서의 인생과 그가 학문 형성에 끼친 영향, 그리고 한국 사회교육의 연구와 실천에 끼친 영향에 대해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연구의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정리한다.
부록에는 수많은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황종건의 생애, 업적, 연보를 비롯해 사회교육 역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뒀다. 이후 관련 연구에 사료적 기반을 제공한다.
200자평
한국 사회교육의 ‘이론’과 ‘실천’ 영역에서 일인자로 평가되는 ‘황종건’의 생애를 통해 한국 사회교육 60년 역사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학설사’ 연구를 채택했다. 교육학자의 생애사 탐구, 학문 의식이나 학설의 직접적 발표 형식인 논문과 저서 등 연구 업적에 관한 역사학적 접근을 취했다. 여기에 생애사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황종건의 삶의 전환에 착안해 수학기, 연구기, 해외 실천기, 전망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고, 시기별로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그리고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황종건이 사회교육과 관련한 사실과 실천을 어떻게 바라보며, 또한 이론을 어떻게 형성해 왔는지를 밝혔다.
지은이
1977년 일본 가고시마(鹿兒島)에서 태어났다. 가고시마대학 교육학부 지역사회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학부 3학년 때 전북대학교 교육학과에서 교환학생으로 수학한 것을 계기로, 한국 사회교육 및 평생교육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석사학위 취득 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황종건의 사회교육 이론과 실천 연구”(2008)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공주대학교 한국농촌교육연구센터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농어촌 전원학교 육성 사업, 초.중.고 통합운영학교 육성 사업 등 농어촌 교육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또한 공주대학교 안보과학대학원 평생교육학전공 강의를 맡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교육사(史),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연계 협력, 농촌교육 등이다. 주요 논문으로 “解放後韓國社會敎育の成立過程に關する一考察-黃宗建の社會敎育學說硏究-”, “第2次平生學習振興總合計畵の樹立背景と計畵の特徵”, “韓國における農村敎育の動向-二つの敎育福祉事業を中心に-”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社會敎育.生涯學習辭典』(朝倉書店, 2012, 공저), 『韓國の社會敎育.生涯學習-市民社會の創造に向けて』(エイデル硏究所, 2006, 공저), 옮긴 책으로는 『일본의 사회교육.평생학습-풀뿌리 주민 자치와 문화 창조를 향하여』(학지사, 2010, 공역)가 있다.
차례
책을 내며
1부 왜 ‘황종건’인가?
01 ‘황종건’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
02 황종건의 학설사 및 생애사 분석 틀
2부 황종건의 생애
03 제 1기 : 수학기(1929∼1960)
04 제 2기 : 연구기(1961∼1985)
05 제 3기 : 해외 실천기(1986∼1994)
06 제 4기 : 전망기(1995∼2006)
3부 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교육 비판
07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해방 직후∼1960
08 미국 교육 도입과 한국 사회 비판
4부 사회교육 이론의 형성과 실천
09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61∼1985
10 사회교육 이론의 형성
11 평생교육론의 전개
12 사회교육 추진 및 연구 조직의 설립과 실천
5부 문해교육의 중요성 재인식과 실천
13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86∼1994
14 사회교육의 방향 모색과 문해교육의 중요성 인식
15 한국문해교육협회의 설립과 실천 257
6부 사회교육 회고와 전망
16 사회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실제 : 1995∼2006
17 평생학습 발전을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7부 결론
18 연구 성과 및 제언
부록
1 황종건의 생애
2 황종건의 업적
3 해방 후 황종건 연보
4 사회교육 역사에 관한 선행연구
참고 문헌
찾아보기